챗봇의 정체성과 개성을 결정지었으면 이제 대본을 작성할 차례이다. 대본은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언어로 마치 연극 대본 작성하듯이 작성하면 된다. 이 단계에서는 CS 문법을 조금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 보다는 전체 대화를 어떻게 끌고 갈 것인지 누락된 주제는 없는지 너무 어려운 단어를 쓰는 것은 아닌지 또 앞서 정의한 챗봇의 개성과 어울리지 않는 부분은 없는지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전체 밑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먼저 토픽을 나열해 본다. 신상명세에 관한 토픽부터 친구, 취미, 경력, 재미있게 본 영화, 음악, 미술, 지리 등 당신이 대화하고 싶은 분야의 토픽을 나열해 본다. 이를 통해 챗봇이 가져야 될 일반상식의 밑그림이 그려진다.토픽에 키워드들..
이제 자신만의 챗봇을 개발할 수 있는 단계에 왔다. 6장을 따라해 보면 알 수 있듯이 무척 쉽다. 챗봇 개발의 핵심은 어떤 주제로 어떤 대본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있지 프로그래밍 지식이나 실력에 있지 않다. 이번 장에서는 대본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를 몇 가지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1) 챗봇의 이력서 작성하기 챗봇을 개발하는 첫 단계는 개발하려는 챗봇의 신상명세를 명확히 하는 일이다. 이름, 키, 몸무게 등에서부터 성격, 친구, 취미, 음식, 노래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세세하게 정의해야 화제거리, 대화 내용, 논조, 어휘, 구사하는 문장 등이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영어권에서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Talking Angela의 경우는 신상명세만 25페이지에 이른다고 한다. 이 정..
① 스크립트 파일을 작성하고 빌드하기 이제 3장과 4장에서 살펴 본 내용을 파일로 만들어 Dorothy에 적용해 보기로 하자. 먼저 3장 (1)절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파일로 만들자. 문서 편집기를 열어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고 kpop.top 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해서 Dorothy 폴더에 놓아둔다. 3장과 4장의 내용 전체를 입력해도 되지만 하나씩 차근히 알아본다는 차원에서 일부만 입력하고 테스트해 보기로 한다. 이때 UTF-8 형식으로 저장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자. 위의 파일 내용은 크게 컨셉을 선언하는 부분과 토픽, 그리고 토픽 내의 룰로 이뤄져 있는데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곳은 토픽의 키워드 목록이다. 이 토픽의 키워드는 컨셉으로 선언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파일의 도입부에서 컨셉을 먼저 만들었..
- Total
- Today
- Yesterday
- Chatscript AI 인공지능 챗봇 chatbot
- 한국어챗봇
- 한글챗봇 우리말챗봇 인공지능챗봇 ai챗봇
- 소프트봇 채터봇
- chatscript chatbot 챗봇 한국어챗봇 ai 인공지능
- 챗봇개발 채팅로봇 한국챗봇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