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이 K-POP을 좋아하냐고 물은 후, 사용자의 대답을 듣고 그에 적합한 응대를 함으로써 대화를 이어 나가는 예제이다. 이와 같은 대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첫째 사용자의 말을 “잘” 들어야 하며 둘째 “들은” 말에 대응하는 규칙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의 말을 잘 듣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이렇게 말할 것이다라고 예상하여 그 말과 매칭이 가능하도록 패턴을 준비해 놓는 것을 뜻한다. 위의 대화를 위한 스크립트를 보면, 로 작성되어 있는데 먼저 룰의 형식을 다시 한 번 복습해 보자. 이 룰은 사용자 입력문(u:)이 패턴(괄호 안의 내용)과 일치하면 오른쪽의 출력문을 출력하라는 룰이다. 이런 형식의 룰을 응답하기(responder) 룰이라고 부른다. 즉 사용자의 말에, 그것이 의문문이든 평서문이든 관계없..
사용자가 말을 걸기 전에 챗봇이 먼저 사용자에게 말을 걸 수 있다. 또는 챗봇에게 대화의 컨트롤이 왔을 때 사용자에게 새로운 화제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규칙이 말걸기[1] (gambit) 규칙이다.챗봇에게 대화의 컨트롤이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사용자가 입력을 하면 챗봇에게 말할 차례가 온 것인데 이때, 챗봇이 하는 최우선 업무는 사용자 입력문에 일치하는 규칙을 찾는 일이다. 찾으면 그 규칙을 시행하게 되고 따라서 이 경우 대화의 컨트롤은 사용자가 갖고 있다. 사용자의 입력문에 챗봇이 대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신 사용자는 자연스런 대화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 입력문에 해당하는 규칙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챗봇이 어떤 말이든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Chatscript AI 인공지능 챗봇 chatbot
- 한글챗봇 우리말챗봇 인공지능챗봇 ai챗봇
- 챗봇개발 채팅로봇 한국챗봇
- 한국어챗봇
- chatscript chatbot 챗봇 한국어챗봇 ai 인공지능
- 소프트봇 채터봇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