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또는 외국어를 글로 표기할 때는 원어를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고 발음 나는 대로 한글로 쓰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한글로 쓸 때인데 표준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제각각 다양하게 쓰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표기가 달라도 동일한 단어로 인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TV를 한글로 쓸 때는 티비, 티브이, 텔레비전, 텔레비죤, 텔레비, 테레비 등으로 사람마다 다양하게 표기한다.위의 대화 예제에서도 씨엘을 CL, 씨에루(팬들이 부르는 애칭) 등으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컨셉으로 묶어 사용자가 어떻게 표기하든 놓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concept: ~씨엘 [ 씨엘 씨에루 CL 이채린 “투애니원 리더” ]b: (~씨엘 *~2 좋아*) 그렇군요. 저는 박봄이 좀 더 좋아요. 위의 씨엘 컨셉에..
위의 표는 기본형 “좋아하다”의 활용형을 정리한 것이다. 존칭형은 생략하였고 과거완료, 미래완료 등의 완료시제와 완료진행시제도 생략하였으며 접속형도 대표적인 것 일부만 정리하였다. 그나마 “좋아하다”는 규칙 활용을 하기 때문에 쉬운 것이고 “반갑다” 등과 같이 불규칙 활용을 하는 경우는 더욱 변화무쌍하다.문제는 우리말의 모든 동사와 형용사가 위와 같이 활용을 한다는 점인데 이를 어떻게 챗봇에게 가르칠 것이냐 하는 점이다. 다행히 챗봇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올바르게 이해하기만 하면 되지만 (출력문은 챗봇의 개발자가 작성하므로) 대화 상대방이 문장의 형태에 따라, 시제에 따라, 뒤따르는 단어의 형태에 따라, 그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챗봇과의 위계 질서에 따라 저 활용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문에 포함시킬..
사용자가 “좋아하는 노래 있어요?” 라고 질문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때 사용자는 노래대신에 음악, 팜송, K-POP, 곡 등 여러 표현으로 물어볼 수 있다. 즉 비슷한 말을 어떻게 알아 듣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 역시 선택매칭([ ], 꺽은괄호) 또는 concept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선택매칭과 concept의 구문형식에 대해서는 이미 제3장 2절 듣고 말하기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그 용도와 확장 사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1] A. u: ( 좋아* [노래, 곡, 음악, 가사, song] 있어요) 예. I love you를 좋아해요 B. concept: ~노래 [노래, 곡, 음악, 가사, Song] u: ( 좋아* ~노래 있어요) 예. I love you를 좋아..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국어챗봇
- Chatscript AI 인공지능 챗봇 chatbot
- 챗봇개발 채팅로봇 한국챗봇
- 소프트봇 채터봇
- chatscript chatbot 챗봇 한국어챗봇 ai 인공지능
- 한글챗봇 우리말챗봇 인공지능챗봇 ai챗봇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